본문 바로가기

진보보수이야기

한국형 진보·보수 용어 적절한가

2012년 01월 10일 (화)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201092117375&code=990304

한나라당과 여권 전체가 연일 벌집을 쑤셔놓은 듯하다. 한나라당의 헌법이랄 수 있는 정강에서 보수를 빼자는 발언 때문이다. 한나라당 비상대책위원회 김종인 위원이 4일 언론 인터뷰에서 “자기 스스로를 ‘나는 보수다’라고 찍고 가는 정당은 오늘날 변화하는 세계에서 존재가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그의 발언에 전여옥 의원은 같은 날 트위터에 “아예 한나라당 철거반장으로 왔다고 이야기하시지”라고 비판했다. 홍준표 의원 등도 비판에 가세했으며 자유총연맹은 반대 성명서를 냈다. 김 위원의 발언이 과연 한나라당의 핵심 가치인 보수 색깔 지우기인지, 단지 보수라는 단어를 지우자는 것인지가 쟁점인 것 같다.

나에게는 한나라당의 가치, 보수의 가치를 내던지자는 것이 아니라 보수라는 단어를 던져버리자는 뜻으로 읽힌다. 김 위원이 어떻게 당의 강령 첫 줄에 들어있는 가치를 부정할 수 있겠나. 보수라는 단어가 주는 부정적인 효과는 이미 오래된 논란거리였다. 지난 2005년 조갑제 대표가 “보수가 진보다”라고 말한 이후 2009년 박효종 교수의 정명논란으로 이어졌다. 박 교수는 좌파가 진보라는 좋은 이름으로 불리는 것은 공정하지 않다며 진보·보수 대신 좌파·우파를 사용하자고 주장했다.그러면 왜 한나라당은 보수라는 멍에를 지고 있나. 이걸 설명해보자는 것이 내가 글을 쓰게 된 이유이다. 보수주의는 프랑스혁명에 겁을 먹은 영국의 귀족 지주 계급이 전통적 가치와 자신들의 기득권을 수호하기 위해 탄생했다. 그러므로 보수할 것이 없는 제3세계에서는 보수는 말 자체의 모순이다. 우리나라와 같이 일제시대와 전쟁을 거치면서 보존해야 할 가치들을 잃어버린 나라도 마찬가지다. 박정희조차도 스스로 보수주의자라고 말하지 않았다.

김종인 위원의 말처럼 보수라는 용어를 강령에 규정한 정당을 찾기도 어렵고 이 용어를 사용하는 나라도 몇 개 안된다. 세계 모든 나라들이 사용하는 우파라고 말하면 문제가 없다. 그런데도 우파 대신 보수를 사용하게 된 이유가 무얼까. 내가 보기에는 우리말 관용법상의 문제다. 우파를 사용하게 되면 상대적 의존 관계에 있는 좌파에도 설자리를 주어야 하는데 6·25전쟁 이후 우리 사회에서 좌파는 입에 올리기에 두려운 말이었다. 좌파를 사용할 수 없다보니 우파만 외짝으로 사용하는 것이 이상했다. 그래서 눈에 뜨인 것이 보수가 아니었을까. 이런 과정을 거쳐 1990년대 중반경부터 보수는 진보라는 짝과 함께 우파·좌파의 대용품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이 사실이 믿어지지 않는다면 1980년대에는 ‘진보·보수’가 사용되지 않았음을 기억해내면 된다.

문제는 여기서부터 시작됐다. 나름대로 필요가 있어 태어났지만 그 과정에 사회과학적 검증이 빠져있었다. 보수는 우파의 여러 사조 중 하나일 뿐인데 이것이 대표선수로 등록이 되어버리니 개념상의 위계가 흐트러졌다. 예를 들어보자. 신자유주의는 지난 20년 동안 우파의 대표적 사조였는데 이것은 보수주의라는 작은 그릇에 담기지 않는다.

한나라당 비대위도 이 문제를 섣불리 결정하지 않고 여론을 수렴하겠다고 했다. 보수진영이 보수라는 단어를 안 쓰게 되면 진보진영도 진보를 사용하는 데 불편해질 것이므로 강건너 불구경할 일이 아니다. 이 기회에 한국사회의 특산품인 진보·보수 용어 사용이 적절한지도 따져 봐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