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재외동포 참정권 삼형제
2007년 12월 29일 (토) 세계로
인터넷 포털에서 검색창에 "참정권“을 넣으면 재외동포와 관련된 참정권 문제를 다룬 기사들이 눈에 들어온다. 그런데 그 종류가 세 가지나 된다는 것을 알고 놀라게 된다. 첫째는 재외국민의 한국 국정참정권, 둘째 재일동포의 일본 지방참정권, 셋째 미국동포사회의 시민권자 유권자운동 등이다.
이 세 가지는 재외동포사회가 낳은 ’참정권’ 성을 가진 삼형제인 셈이다. 이외에 국내체류 외국인 참정권은 이복형제라 부를 만하다. 그러나 형제라는 말을 붙이는 것이 적당한가라는 의문이 제기될 만큼 삼형제간의 사이가 좋지 않다. 서로 외면하고 관심도 없다. 왜냐하면 삼형제 모두가 각자의 문제가 잘 풀리지 않고 있어 제 문제해결에 전전긍긍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삼형제가 합심하여 하나씩 문제를 해결해나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오히려 자기의 문제가 가장 중요한 문제라고 주장하며 다른 문제들을 경원하고 배타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삼형제의 처지가 어떤지 살펴보자. 한국 참정권은 해당되는 인구가 가장 많고 역사가 가장 오래 되어서 삼형제중 큰형이라 불러도 될 것이다. 72년 10월 유신 직후에 선거법의 부재자투표조항에서 해외거주자를 제외해버려 탄생한 문제이다. 그 이전에는 66년부터 대선과 총선 각각 두 차례씩 참여한 바가 있다. 이 때문에 재외국민들은 참정권에 관한한 아직도 유신치하에 살고 있다고 말한다.
둘째와 셋째는 나이와 키가 엇비슷하지만 재일동포의 지방참정권을 둘째로 놓았다. 재일동포를 대표하는 공식조직인 재일민단에서 추진해온 것인데 일본정부가 받아들이는가가 관건이다. 한국정부도 이 문제에 적극 나서서 한일영사국장 회담의 단골 메뉴였으며 과거에 김종필씨같은 정치인들이 적극 지원했었다. 재일동포의 숙원인 이 문제는 최근 들어 일본정부가 부정적인 입장으로 선회함에 따라 재일민단은 이 사업을 포기해야 하는 지경에 이르렀다고 전해진다.
미국동포사회에서 일고 있는 시민권자 유권자운동은 금세기 들어 미국의 뉴욕과 LA등에서 본격화됐으며 점차 호응이 높아지고 있다. 미국 거주 200여만 동포 중 절반 가까운 동포들이 시민권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이 결집하여 특정 정당이나 특정 후보에게 표를 던지면 그 영향력이 적지 않을 것이라는 점에 착안했다. 이를 통해 한인사회의 정치적 영향력을 증진시키자는 것이 목적이다. 이들은 미국에 왔으면 미국사회에 적극 참여해야지 한국에 기웃거리면 안 된다며 본국 참정권 문제에 대해 냉소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재일동포 지방참정권과 관련한 특기사항은 한국내 외국인의 지방참정권이다. 한국 국회는 지난 2005년 6월 정치개혁특별위원회에서 외국인의 지방참정권을 허용하는 법안에 전격 합의했다. 그 이후 중국 국적의 화교들이 도지사 선거에 참여하는 이채로운 장면을 신문 방송을 통해 볼 수 있게 됐다. 이것은 한국정부로부터 외국인의 지방참정권을 요구받은 일본정부가 당신들도 실시하지 않고 있으면서 왜 우리에게 요구하느냐는 항변에 대한 대응책으로 나온 것이다. 한 번도 공식적으로 지방참정권을 요구한 바가 없는 국내거주 수만 명의 외국인들은 졸지에 횡재한 셈이다.
이처럼 재외동포의 세 가지 참정권은 각각의 사연이 간단치 않다. 여기서는 그중에서 첫째와 셋째 사이의 관계를 조명해보려고 한다.
'재외국민 참정권 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07참정권운동] 5.정치논리가 논의구도 왜곡시켜 (0) | 2015.11.13 |
---|---|
[2007참정권운동] 4.참정권과 이중국적의 뿌리는 정체성과 현지화 (0) | 2015.11.13 |
[2007참정권운동] 2.진화하는 재외국민 참정권 제도 (0) | 2015.11.13 |
[2007참정권운동] 1. 시작하며 -주요 쟁점 시간이 해결 (0) | 2015.11.13 |
[격렬토론5] 조광동주간 '미제'의 시각 드러내 (0) | 2015.1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