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광장] 재미동포를 정치에 이용말라
2006년 12월 27일 (수) 미주중앙일보 111
하기환 전 LA한인회장
재외동포의 참정권 문제가 내년 한국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중대한 사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참정권을 영주권자까지 확대시킬 것인가 하는 것이 큰 관심사이다. 학생 또는 주재원에게 참정권 기회를 주는 것은 동포사회에서도 이견이 없는 줄 안다.
그러나 앞으로 미국시민이 되려고 영주권을 받은 동포에게도 투표권을 부여하는 것은 재고해 봐야 할 것이다.
영주권자가 된다는 의미는 미국에서 뿌리를 내리고 이 사회의 일원으로 충실한 시민이 될 것을 약속하는 것이다. 아울러 영주권자는 우리의 훌륭한 문화 예술을 미주류사회에 접목시켜 존경받는 한인 이민사회를 건설할 의무가 있다고 본다.
영주권자까지 포함시키면 미주 한인사회에서 50만명 이상은 투표권을 행사할 수 있을 것이다. 최근 역대 한국 대통령 선거의 당락차이가 겨우 30~50만표 내외 인 것을 보면 미주 한인 동포사회의 표심의 비중은 막중하다고 볼 수 있겠다.
미주 한인사회가 한국 대통령 당선을 좌지우지 할 수도 있다는 얘기와 다름 아니다.
내년 대선에 한인사회가 벌써부터 편가름이 시작되었다고 느낀다. 대표적인 예로 최근 참정권 문제를 토론하러 왔다는 홍모 야당의원이 총영사가 본인이 하는 간담회에 참석 안했다고 호통을 치며 행사장에 나온 담당 영사를 내쫓은 사건이 벌어 졌다.
군사 독재 정권에서나 일어날 한심한 일이며 동포사회를 무시하는 행동으로 느껴진다. 이번 강연회의 홍보광고에는 여당의 김모의원도 동참한다고 발표되었는데 정작 김의원은 참석 못하는 것으로 행사전에 결정되었다는 후문이다.
김모의원이 참석 못하는 것을 미리 알고 있는 주최측이 신문광고를 통해 여야 두 정당의 국회의원이 동포사회의 참정권을 위한 강연회에 참여하는 것 처럼 동포사회를 우롱한 것이다.
이번 행사를 주최한 측의 면면을 살펴보면 한국 정치에 뜻을 둔 분이 많이 참여했다.
한인사회를 대표하는 대부분의 지도자들은 보수 성향이 많으며 여당은 앞으로 승산이 없다고 느껴지는 반면에 당선 가능성이 확실하다고 믿는 현 야당쪽으로 줄을 서게 된 것이다. 결과적으로 개인적인 야망을 채우기 위해 허위광고도 마다하고 간담회를 강행한 것이다.
내년 12월에 있을 한국 대선에 동포사회가 보수 또는 진보 여당 또는 야당으로 편가르기를 하며 선거운동을 했을 때 동포사회의 분열은 더 심각해 진다.
최근 한인들의 경제적인 후원으로 캘리포니아 850만명 인구를 대표하는 조세 형평국에 미셸 박씨를 당선시킨 저력이 있는 한인사회이다.
한인사회는 역량있는 인재를 발굴해서 우리의 목소리를 낼 수 있는 미주류 정치사회에 진출시켜야 하는 사명감을 갖고 있다.
영주권자를 한국의 정치판에 이용하여 편가르기를 하지 말고 모두 단합하여 앞으로 더 많은 미셸 박 강석희 최석호 등등의 후세 정치인을 길러 내는데 모든 힘을 합쳐야 될 것이다.
신문발행일 :2006. 12. 27 / 수정시간 :2006. 12. 26 22: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