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외동포칼럼

[시론]청년실업 동포기업이 풀자


[시론]청년실업 동포기업이 풀자

김제완기자  |  oniva@freechal.com
 
 


 폰트키우기 폰트줄이기 프린트하기 메일보내기 신고하기
 
승인 2005.03.11  00:00:00
 
트위터 페이스북 미투데이 요즘 네이버 구글 msn
 

 

    
 
▲ 김제완 편집국장
 
활로가 뚜렷이 보이지 않는 청년실업문제와 국제화시대의 인력 해외진출을 동시에 해결해줄 해외취업이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가능하기만 하다면 도랑치고 가재 잡고, 꿩 먹고 알 먹는 셈이다. 이런 매력때문에 정부가 부쩍 관심을 갖고 덤벼들고 있다.

이해찬총리는 청년실업자의 해외진출을 위해 관련예산을 올해 전반기에 집중 투여하겠다는 방침을 지난해 연말 발표했다. 산자부 국제협력단 산업인력관리공단 등 5개 정부부처에 책정돼있는 350억원을 올해 상반기에 투입해 4천480명을 해외에 취직시키겠다는 것이다.

이에 뒤질세라 이명박 서울시장도 100억을 들여 해외취업센터등을 운영하고 하반기에는 해외취업박람회도 열겠다고 지난 1월에 밝혔다.

해외취업문제는 정치인들이 많은 관심을 표해왔다. 두해전 한나라당 최병렬총재가 당내 청년실업대책위원회의 건의를 받고 처음 발설하고 추진했었다.

재외동포들도 이 문제에 비상한 관심을 갖고 있다. 해외 취업으로 내보내는 인력은 고스란히 재외동포사회의 구성원이 되기 때문이다. 이들 신입생이 자리를 잘 잡으면 동포사회에 성장과 발전의 동력이 될 것이고 그렇지 않으면 부담스러운 짐이 될 것이다.

그런데 외국 노동시장을 현장에서 상시적으로 몸으로 겪고 있는 동포들은 정부가 해외 현실을 너무 모르고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특히 북미 유럽같은 선진 여러나라들은 외국인 노동자들의 불법노동을 엄격하게 규제해오고 있다. 이때문에 현지 사정을 잘 아는 유학생들조차도 합법적인 일자리를 구하는 것이 하늘의 별따기이다. 이같은 조건에서 노동은 신성한 것이 아니라 노동은 범죄라는 말조차 나오고 있다. 더구나 국내에서 몇개월 연수시켜서 언어능력이 얻어지는 것도 아니다. 몇년씩 준비하고 떠나는 이민자들도 언어문제로 고생하는 것이 현실이다.

현재 산업인력관리공단같은 주무기관에서는 IT와 간호사 인력을 집중적으로 일본과 미국에 보내겠다는 계획을 세워 추진하고 있지만 기대한 만큼 성과를 낼 전망이 보이지 않는다. 이같은 난관이 눈앞에 보이는데도 정부가 밀어붙이고 있는 것은 풀리지 않는 청년실업문제에 대한 답답함이 그 배경이 되고 있다.

그런데 등잔불 밑이 어둡다는 격으로 관련부처들은 동포기업과 함께 이 문제를 풀 생각을 못하고 있는 것같다. 해외각국에 나가 있는 700만 동포들이 우리의 자산이라는 사실을 이럴 때 상기해야 한다. 전세계 한상(韓商)의 숫자만 해도 수십만에 이르고 매년 열리는 세계한상대회때마다 근 1천명이 참여한다. 이들 한상들이 청년실업자들을 한명씩 취업시킨다면 실업문제가 일거에 해결될 수 있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먼저 해외에서 필요로 하는 인력에 대한 기초수요조사가 선행되어야 한다. 여기서는 그 중에 한가지 사례를 들어본다.

전세계 400여개의 동포신문사들은 업무특성상 외국어보다 한국어를 잘하는 사람이 좋은 점수를 받는다. 고급의 한국어 능력자가 경쟁력을 갖는 경우는 한글학교도 마찬가지다. 산업인력관리공단 같은 관련기관이 대학졸업 이상의 신청자들을 대상으로 기사작성 교육을 담당하고 일정자격 이상의 능력을 갖추도록 해서 내보낸다면 동포언론사들은 이들 인력을 마다할 이유가 없다. 또한 처음 수개월간은 인턴 형식으로 일하게 되므로 부담도 적다.

비유가 적절할지 모르겠지만 과거에 고아들을 해외에서 입양했던 것처럼, 동포경제단체들이 나서서 국내청년을 맞이하자는 캠페인을 벌여보는 것은 어떨까. 동포기업인들이 이 문제에 관심을 갖는다면 해외동포와 국내가 상생의 관계에 있다는 말이 공허한 구호가 아니라는 것을 입증하게 될 것이다.